메뉴 건너뛰기

메뉴 건너뛰기

허권수의 한자로 보는 세상

실재서당

Atachment
첨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image.png

        동방한학연구원장

 

용화동범(龍華同泛), 용화산 아래서 함께 배를 띄우다

 

  193미터밖에 안 되는 나지막한 산이면서, 우리나라 유학사(儒學史)에 있어 아주 유명한 산이 있다. 함안군(咸安郡) 동북 모서리인 대산면(代山面)에 있는 용화산(龍華山)이다. 이 산의 동쪽에는 태백산(太白山)에서 발원한 낙동강(洛東江)이 남북으로 흐른다. 이 산의 북쪽에는 지리산(智異山), 덕유산(德裕山)에서 발원한 남강(南江)이 흘러와 낙동강과 합수한다. 동쪽은 창녕군(昌寧郡), 북쪽은 의령군(宜寧郡)이다.

 

  지리적으로 단순히 낙동강 물과 남강 물이 만나는 곳만이 아니다. 퇴계학(退溪學)과 남명학(南冥學)이 만나는 융합(融合)의 문화가 있는 중요한 곳이다. 경상좌도(慶尙左道)와 우도(右道)의 학문과 문화가 만나는 곳이다.

 

  그래서 함안의 선비들은 퇴계학과 남명학을 다 접할 수 있었다. 함안 출신의 황곡(篁谷) 이칭(李偁), 죽유(竹牖) 오운(吳澐) 등이 퇴계 남명 두 선생의 문하를 출입하며 두 선생의 장점을 다 흡수하여 학문의 폭을 넓혔다. 그 뒤를 이은 간송(澗松) 조임도(趙任道)는 철저하게 남명과 퇴계 두 선생을 극도로 존모(尊慕)하면서 두 학파의 융합을 위해 평생을 바쳤다.

 

  퇴계 남명 두 선생의 문하를 출입하며 두 선생의 장점을 다 배운 대표적인 학자가 한강(寒岡) 정구(鄭逑). 벼슬에 나가지 않고 학문에 전념했는데, 저서가 대단히 많았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73세 되던 해 집에 불이 나는 바람에 저서를 다 태워버렸다. 그 때 한강은 하늘이 나를 망치는구나!”라고 탄식할 정도였다. 그런데 흩어진 저서를 모으고, 노년에 새로 지은 시문까지 합하여 지금 20여 책의 저서가 남아 있으니, 대단한 학자다.

 

  학문에만 전념하고 있을 때 고향 친구 동강(東岡) 김우옹(金宇顒)의 추천으로 벼슬에 나가게 되었다. 지방 고을원 자리는 굳이 사양하지 않았다. 어느 정도 자신의 이상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1580년 창녕(昌寧) 군수로, 1586년에는 함안(咸安) 군수로 부임하였다.

 

  한강은 고을원으로 부임하면 먼저 학교를 세워 인재를 기르고, 그 지역 출신의 선현을 선양하고, 그 지방의 역사와 문화를 정리하여 읍지(邑誌)를 편찬했다. 한강이 편찬한 대부분의 읍지가 없어졌지만, 함안의 읍지인 '함주지(咸州誌)'는 현존하는 우리나라 최고(最古) 최초(最初)의 읍지고, 임진왜란 이전에 간행된 유일한 읍지다.

 

  1607년 한강이 자기 질서이자 후배인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을 대동하고, 자신이 20여 년 전에 다스렸던 함안과 창녕 사이에 있는 용화산 아래로 성주(星州)에서 배를 타고 내려왔다. 이 소식이 전해지자, 이 지역의 한강의 제자, 옛날 고을 원일 때 사귀었던 선비들이 다투어 모여들었다. 임진왜란 때 대표적인 의병장인 망우당(忘憂堂) 곽재우(郭再祐) 선생도 합류하였다. 모두 35명이었다. 35명 가운데 12명이 임진왜란 때 의병장이었다.

 

  사흘 동안 낙동강 위에 배를 띄우고 학문을 논하고 세상일을 이야기하고, 나라를 걱정하고 백성들을 동정하며 지냈다. 망우당을 비롯하여 의병활동에 참여하여 국가를 구해낸 선비들이 임진왜란이 끝나자, 공신이 되기를 바라지 않고, 모두 다 물러나 자취를 감추었다. 그러나 이 분들은 은자가 아니기에, 임진왜란 이후에 피폐한 세상과 가난한 백성들을 걱정하였다.

 

  북송(北宋) 때 학자 문인인 동파(東坡) 소식(蘇軾)1082년 적벽(赤壁)에서 뱃놀이하며 「「적벽부(赤壁賦)를 지은 것을 기념해서 우리나라에서도 곳곳에서 적벽선유(赤壁船遊)를 한다. 용화동범은 학문적으로 문화적으로 적벽선유에 못지 않은 의미를 가진다. 또 용화동범의 전통은, 1961년까지 계속 이어져 왔다.

 

  용화동범에 참여한 35명의 후손들이 모현계(慕賢契)라는 모임을 만들어 4백년이 넘은 지금까지 선조들의 우의(友誼)를 새겨 이어가고 있다. 친형제도 싸우는 지금 세상에 선조들끼리 우의가 있다고 4백 년 넘도록 이어가는 아름다운 정신은 전 세계에 널리 퍼져 나가야 할 거룩한 일이다.

 

  용화산은 단순히 낙동강 서쪽에 있는 경치 좋은 산이 아니다. 거기에는 학문이 있고, 충절이 있고, 도덕이 있는 산이다. 우리나라의 학문이나 도덕과 애국을 대표하는 산이다. 학문 도덕 애국을 선양할 수 있는 본산(本山)으로 발전되었으면 좋겠다.

 

[*. : , . *. : 빛날, . *. : 한 가지, . *. (=) : 띄울, . 넓을 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9 (1047) 야랑자대(夜郞自大) - 야랑이라는 조그만 나라가 스스로 크다고 여기다 file 아우라 2024.09.24 3
188 (1046) 가공제사(假公濟私) - 공적인 일인 것처럼 가장하여 개인적인 목적을 달성하다 file 아우라 2024.09.10 8
187 (1045) 흥학유공(興學有功) - 학문을 일으키는 데 공적이 있다 file 아우라 2024.09.03 10
186 (1044) 이문획죄(以文獲罪) - 글 때문에 죄를 얻는다 file 아우라 2024.08.27 6
185 (1043) 불지기서(不知其暑) - 그 더위를 알지 못 한다 file 아우라 2024.08.20 31
184 (1042) 덕곡문회(德谷文會) - 덕곡서원의 글하는 모임 file 아우라 2024.08.13 72
183 (1041) 전기수유(奠基垂裕) - 터를 잡아 많은 것을 남겨주다 file 아우라 2024.08.06 27
182 (1040) 덕학구륭(德學俱隆) - 덕행과 학문이 다 높다 file 아우라 2024.07.30 55
» (1039) 용화동범(龍華同泛) - 용화산 아래서 함께 배를 띄우다 file 아우라 2024.07.23 57
180 (1038) 협견첨소(脅肩諂笑) - 어깨를 쫑긋하면서 아첨하여 웃는다 아우라 2024.07.16 78
179 (1037) 종정우서(鍾精于書) - 책에다 정을 쏟는다 아우라 2024.07.09 52
178 (1036) 신도시덕(身都是德) - 온몸이 모두 덕이다 1 아우라 2024.07.02 148
177 (1035) 호랑지국(虎狼之國) - 호랑이나 여우 같은 나라. 마음이 잔혹하고 포악한 나라 아우라 2024.06.25 113
176 (1034) 쟁선기서(爭先棄書) - 앞다투어 책을 버린다 file 아우라 2024.06.18 145
175 (1033) 양사가혜(良師嘉惠)- 훌륭한 스승의 아름다운 은혜 아우라 2024.06.11 188
174 (1032) 추로지향(鄒魯之鄕) - 맹자와 공자의 나라처럼 유학의 기풍이 있는 고을 file 아우라 2024.06.04 180
173 (1031) 부화상상(浮華相尙) - 들뜨고 화려한 것만 서로 숭상한다 아우라 2024.05.28 175
172 (1030) 위사중소(爲師衆笑) - 스승이 되면 뭇 사람들이 비웃는다 file 아우라 2024.05.21 168
171 (1029) 불학노쇠(不學老衰) - 배우지 않으면 늙고 쇠약해진다 file 아우라 2024.05.21 232
170 (1028) 잠완경훈(潛玩經訓) - 유교 경전의 가르침에 푹 잠겨서 그 의미를 맛본다 아우라 2024.05.07 27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 10 Next
/ 10
후원참여
허권수의
한자로
보는 세상
후원참여
연학
후원회
자원봉사참여
회원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