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메뉴 건너뛰기

허권수의 한자로 보는 세상

실재서당

조회 수 28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허권수 동방한학연구원장

       동방한학연구원장

 

도역유도(盜亦有道)- 도둑에게도 도(道)가 있다

 

  지금으로부터 2500년 전 중국 춘추시대(春秋時代) 도척(盜?)이라는 유명한 도적이 있었다. 재물 탈취는 물론이고 양민 학살, 성폭행, 심지어 사람까지 잡아먹었으니 정말 흉악범이었다. 부하를 900명이나 거느리고 천하를 횡행했다.

어느 날 그 부하가 도척에게 “도둑에게도 도(道)가 있습니까?”라고 물었다. 도척이 이렇게 답했다. “당연히 있지, 도둑이 어떤 집에 감추어둔 보물이 있는지를 알아내는 것이 성스러움[聖], 훔칠 때 먼저 들어가는 것이 용기[勇], 나올 때 맨 뒤에 나오는 것이 의리[義], 성공 여부를 아는 것이 지혜[知], 훔쳐 온 것을 나눌 때 공평하게 나누는 것이 어짐(仁)이야. 이 다섯 가지 도를 갖추지 않고서 큰 도둑이 된 자는 아직 없어.” 이 이야기는 ‘장자(莊子)’에 나온다. 도척의 이 말 뒤에 장자가 이렇게 해설을 붙였다. “착한 사람은 성인(聖人)의 도를 얻지 못 하면 서지 못 한다. 도척도 성인의 도를 얻지 못 하면, 도둑질을 할 수가 없다. 천하에 착한 사람은 적고 착하지 않은 사람은 많다. 그러니 성인이 천하를 이롭게 하는 것은 적고 천하를 해롭게 하는 것은 많다. 성인이 나온 뒤에 도둑이 나왔다.”

 

  장자의 이 말은 대단한 풍자가 들어 있다. 공자(孔子) 같은 성인이 나와 훌륭한 도를 남겨도 정말 그 말대로 해서 착한 사람이 되는 사람은 얼마 안 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성인의 도를 끌어와 자기 합리화하는 데 잘 써 먹으니 장자가 “성인이 세상을 이롭게 하는 것은 적고 해롭게 하는 것은 많다”고 한 것이다.

 

  사실 그렇다. 지식인들이 입으로는 진리, 정의, 양심, 사명, 가치, 개혁 등등을 외치지만 속으로는 부정을 저질러 가면서 이익을 추구하는 것이 도적과 다를 바 없다. 각종 선거에 나오는 후보들이 성인의 말씀 같은 그럴 듯한 말을 안 하는 사람이 없다. 그러니 백성들이 속히는 것이다. 백성들을 속이고 또 속이면서 정치인으로서 수명을 계속 유지해 나가지만 나라는 계속 추락한다.

 

  도적이 도가 있다는 도척의 말을 들으면 모두가 비웃겠지만, 지금 정치가들이나 지식인들이 번지르르한 말은 하면서 그 행동은 그 말과 어긋나는 것은, 도척이 “도둑도 도가 있다”고 주장하는 것과 다를 바가 없기 때문이다.

 

  도척의 이야기는 ‘맹자(孟子)’에도 나온다. “닭이 울면 일어나 부지런히 착한 일을 하는 사람은 순(舜)임금 같은 무리이고, 닭이 울면 일어나 부지런히 이익을 챙기는 사람은 도척 같은 무리이다.” 사람이 오로지 이익만 챙기게 되면 결국 못할 짓이 없게 된다.

 

  지금 세상은 이익만 챙기는 사람이 대부분이고 학교 등에서는 이익만 챙기라고 가르치고 있다. 그러면 결국 도척 같은 사람을 양성해 내는 것이다.

 

  성인의 말씀 등 좋은 말은, 나쁜 짓하면서 자기 행동을 합리화하는 데만 쓰일 뿐이니 “성인이 세상을 이롭게 한 것보다 해롭게 한 것이 더 많다”는 장자의 말을 변명할 여지가 없다.

 

* 盜 : 도둑 도. * 亦 : 또 역.

* 有 : 있을 유. * 道 : 길 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6 (1009) 출륜준재(出倫俊才) - 보통 사람들보다 뛰어난 재주 있는 사람 file 아우라 2023.12.26 281
155 (995) 견리사의(見利思義) - 이익을 보면 의리를 생각하라 file 아우라 2023.09.12 281
154 (896) 안로회소(安老懷少) - 나이든 사람을 편안하게 해주고 어린이를 품어준다. file 아우라 2021.09.07 281
153 (879) 무재무덕(無才無德) - 재주도 없고 덕도 없다 아우라 2021.05.11 281
152 (1025) 강안양정(江岸兩亭) - 강가의 두 정자 아우라 2024.04.16 280
151 (976) 진석음식(珍惜飮食) - 음식을 보배처럼 여겨 아낀다 아우라 2023.04.18 280
150 (969) 짐본포의(朕本布衣) - 황제인 나도 본래 베옷 입은 평민이었다 file 아우라 2023.02.28 280
149 (937) 식비수과(飾非遂過) - 옳지 못한 일을 꾸며 변명하고 잘못한 것을 밀고 끝까지 한다 file 아우라 2022.07.12 279
148 (1026) 예현호사(禮賢好士) - 어진 사람에게 예의를 표하고 선비를 좋아한다 아우라 2024.04.23 278
147 (1021) 생소기중(生消其中) - 그 가운데서 생산되어 그 가운데서 사라진다 file 아우라 2024.03.19 278
146 (1004) 수제자론(首弟子論) - 수제자에 대해서 논한다 아우라 2023.11.21 278
145 (935) 원장망권(院長望圈) - 서원 원장에 추대하는 문서 file 아우라 2022.06.28 278
144 (975) 유지경성(有志竟成) - 뜻이 있으면 마침내 이룬다 file 아우라 2023.04.11 277
143 (886) 오월배망(五月倍忙) - 음력 5월 달은 두 배로 바쁘다 2 file 아우라 2021.06.29 277
142 (882) 석과불식(碩果不食) - 큰 과일은 먹지 않는다 file 아우라 2021.06.01 277
141 (881) 병심여상(秉心如常) - 마음가짐을 정상적인 것 같이 한다 file 아우라 2021.05.25 277
140 (1022) 전형중임(銓衡重任) - 저울에 달듯이 사람을 골라 쓰는 중요한 임무 아우라 2024.03.26 276
139 (1017) 용유구자(龍有九子) - 용에게는 아홉 명의 아들이 있다 아우라 2024.02.20 276
138 (933) 여민동락(與民同樂) - 백성들과 함께 즐거워하다 file 아우라 2022.06.14 276
137 (925) 신청기상(神淸氣爽) - 정신이 맑고 기분이 시원하다. file 아우라 2022.04.19 27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11 Next
/ 11
후원참여
허권수의
한자로
보는 세상
후원참여
연학
후원회
자원봉사참여
회원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