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메뉴 건너뛰기

허권수의 한자로 보는 세상

실재서당

Atachment
첨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동방한학연구원장

        동방한학연구원장

 

위사중소(爲師衆笑) - 스승이 되면 뭇 사람들이 비웃는다

 

  필자가 처음으로 들어본 대학 교수의 강연은 서울대 생물교육과 최기철(崔基喆) 교수가 하는 것이었다. 고등학교 2학년 1학기 말에 경남 일대에 민물고기 조사하러 왔던 차에, 그 제자들이 근무하던 학교에서 강연을 하게 된 것이었다.

 

  지금까지 기억에 남는 내용은, 어릴 때 공부를 잘하니까 사람들이 왜 법과를 가서 판검사를 하지 않고 교사를 하려고 한다며 나무랐다는 말씀이 있었는데, 자기는 생물학을 전공한 것이 재미도 있고 만족한다는 것이었다. 그때 그분의 중후하고 인자한 모습과 알아듣기 쉽게 강연하는 정성에서 존경심이 절로 우러났다. 이 분은 우리나라 담수어(淡水魚) 연구와 자연생태계 보존에 큰 업적을 남겼다.

 

  그 뒤 알게 된 사실인데, 최 교수님은 생물교육과에 입학하는 모든 학생들의 이름은 물론 신상까지도 다 파악하고 있었다고 한다. 학생에 대한 관심과 애정이 매우 깊다는 증거이다. 제자인 강원대 생물학과 권오길(權伍吉) 교수도 학생들에게 관심과 애정이 대단히 깊었다. 교수가 되기 전에 경기고에서 교편을 잡은 적이 있었다. 대학교수가 된 이후 몇십 년이 지난 뒤 3학년 11반 졸업생들이 반창회를 하면서 담임선생이었던 권 교수를 초청했는데, 권 교수는 62명 졸업생의 이름을 한 명도 빠지지 않고 출석부 순서 그대로 불렀다고 한다. 졸업생들도 그 정도로 애정이 있으리라고는 생각도 못했다.

 

  교수나 교사가 이 정도로 학생들에게 관심과 애정을 쏟는데, 존경 안 할 학생이 있겠는가?

 

  지금 우리나라의 교육자들은 자기 직업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 교사라는 직업에 대한 만족도가 금년 조사에 의하면 19%로 떨어졌다. 그리고 교사가 존경받고 있다고 생각하는 교사는 2% 정도밖에 안 된다고 한다. 얼마나 학부모들의 민원과 폭력에 시달렸으면 자살하는 교사가 나올까? 가르치는 일을 좋아하면서도 교직을 떠나는 사람이 너무도 많다. 처우(處遇)도 문제지만, 여러 가지 여건이 교육자들을 버티지 못하게 하고 있다.

 

  학생의 인권도 보장되어야 하지만, 교육자의 교권도 보장되어야 한다. 정상적인 학생의 인권은 당연히 보호되어야 하지만, 교육환경을 파괴하는 학생들에 대해서는 징계를 내릴 수 있도록 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당(唐)나라 때도 스승에 대한 존경심이 없었던지, 당나라 대문장가인 한유(韓愈)는 ‘사설(師說)’을 지어 스승의 역할과 필요성을 강조하였고, 유종원(柳宗元)은 ‘사우잠(師友箴)’을 지어 스승과 벗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유종원은 ‘사우잠’의 서문에서 “지금의 세상에서는, 남의 스승이 된 사람을 뭇 사람들이 비웃는다. 온 세상에서 스승을 섬기지 않는다. 그래서 도덕에서 더욱 떠나는 것이다.[今之世,爲人師者, 衆笑之. 擧世不師,故道益.]”라고 했다. 지금 우리나라가 크게 어지러운 것은 스승을 존경하지 않아 교육이 제대로 되지 않는 것이 가장 큰 원인이다.

 

  5월 15일 스승의 날을 계기로 교육자는 애정을 가지고 열심히 가르치고, 학생은 열심히 배우는 그런 환경이 되어야, 우리나라의 교육이 정상화되어 많은 인재들이 배출되어 국가민족의 큰 힘이 될 것이다.

 

* 爲 : 할 위. * 師 : 스승 사.

* 衆 : 무리 중. * 笑 : 웃을 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6 (1034) 쟁선기서(爭先棄書) - 앞다투어 책을 버린다 file 아우라 2024.06.18 181
175 (1033) 양사가혜(良師嘉惠)- 훌륭한 스승의 아름다운 은혜 아우라 2024.06.11 227
174 (1032) 추로지향(鄒魯之鄕) - 맹자와 공자의 나라처럼 유학의 기풍이 있는 고을 file 아우라 2024.06.04 227
173 (1031) 부화상상(浮華相尙) - 들뜨고 화려한 것만 서로 숭상한다 아우라 2024.05.28 204
» (1030) 위사중소(爲師衆笑) - 스승이 되면 뭇 사람들이 비웃는다 file 아우라 2024.05.21 204
171 (1029) 불학노쇠(不學老衰) - 배우지 않으면 늙고 쇠약해진다 file 아우라 2024.05.21 269
170 (1028) 잠완경훈(潛玩經訓) - 유교 경전의 가르침에 푹 잠겨서 그 의미를 맛본다 아우라 2024.05.07 306
169 (1027) 애양기본(愛養基本) - 바탕을 기르기를 좋아한다 file 아우라 2024.04.30 258
168 (1026) 예현호사(禮賢好士) - 어진 사람에게 예의를 표하고 선비를 좋아한다 아우라 2024.04.23 278
167 (1025) 강안양정(江岸兩亭) - 강가의 두 정자 아우라 2024.04.16 280
166 (1024) 사당수정(士當守正) - 선비는 마땅히 바른 도리를 지켜야 한다 아우라 2024.04.09 189
165 (1023) 교사다단(狡詐多端) - 교묘하게 속이는 방법이 여러 가지다 아우라 2024.04.02 293
164 (1022) 전형중임(銓衡重任) - 저울에 달듯이 사람을 골라 쓰는 중요한 임무 아우라 2024.03.26 276
163 (1021) 생소기중(生消其中) - 그 가운데서 생산되어 그 가운데서 사라진다 file 아우라 2024.03.19 278
162 (1020) 공근겸화(恭謹謙和) - 공손하고 삼가고 겸허하고 온화하다 file 아우라 2024.03.12 319
161 (1019) 가여공사(可與共事) - 더불어 일을 함께 할 만하다 file 아우라 2024.03.05 261
160 (1018) 명세수도(命世守道) - 하늘의 명으로 세상에 태어나 도를 지키다 아우라 2024.02.27 315
159 (1017) 용유구자(龍有九子) - 용에게는 아홉 명의 아들이 있다 아우라 2024.02.20 276
158 (1016) 형제난득(兄弟難得) - 형과 아우는 얻기 어렵다 file 아우라 2024.02.13 250
157 (1015) 모합심리(貌合心離) - 겉모습은 하나가 되어도 마음은 흩어져 있다 file 아우라 2024.02.06 23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11 Next
/ 11
후원참여
허권수의
한자로
보는 세상
후원참여
연학
후원회
자원봉사참여
회원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