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메뉴 건너뛰기

허권수의 한자로 보는 세상

실재서당

Atachment
첨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모도유독(慕道猶篤) - 도를 그리워하는 마음이 오히려 독실하다

 

  퇴계(退溪) 이황(李滉) 선생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대학자로서, 국제적으로 알려진 거의 유일한 학자다. 그런데 퇴계는 평생 숨어서 학문만 한 것이 아니고, 문과에 합격해 벼슬이 부총리급인 좌찬성에까지 이르렀다. 본래는 학문만 하려고 했으나, 어머님이 원하고, 또 형들이 권유하기 때문에 1534년 34세 때 과거에 합격해 벼슬길에 나갔다. 그러나 그 시대는 세 번의 사화(士禍)가 있어 많은 선비 출신의 관료들이 죽임을 당하거나 귀양가거나 축출된 직후였다. 그래서 선비들이 공부를 멀리하고 기개도 없이, 간신들의 눈치나 보면서 지위를 유지하고 있었다.

 

  퇴계는 벼슬의 의미를 잃었는데, 1537년 모친상 이후로는 더욱 벼슬에 뜻이 없었다. 그때부터 벼슬을 사양하고 고향에서 학문하며 지냈다. 퇴계의 본 뜻은 성현의 학문을 밝혀 우리나라에 보급하는 것에 있었다. 그러다가 1545년 을사사화 때는 간신 이기(李)에 의해서 삭탈관작(削奪官爵)을 당했다. 1550년에는 형님 온계(溫溪) 이해(李瀣)가 간신들에게 몰려 죽임을 당했다. 그 이후로 더욱 벼슬을 마다하고, 고향 도산(陶山)에서 보내며, 학문을 연구하고 저술을 하고, 제자들을 가르쳤다. 그러나 신하로서 임금이 계속 부르는데도, 그냥 무심하게 있을 수만 없어, 10여 차례 벼슬에 나갔다가 곧 사직하고 돌아오기를 반복했다.

 

  1567년 어린 나이로 즉위한 선조(宣祖) 임금은 꼭 퇴계를 불러와 도움을 받고자 했다. 퇴계는 부득이 1568년 음력 7월에 서울로 올라와 벼슬에 취임했다. 그러나 선조는 진정으로 퇴계의 가르침을 받아들이려는 의도는 없고, 단순히 퇴계 같은 대학자가 자기 조정에 참여한다는 효과만 노리려고 했던 것이다. 그래서 다시 돌아갈 결심을 하고 여러 번 간청하여 1569년 3월 3일에 윤허를 얻어, 4일 길을 나서 17일 도산서당(陶山書堂)에 도착했다. 마지막 귀향길이었다. 이후 고향에서 학문을 완성하고, 제자들을 양성하다가 1570년 12월 8일 서거했다.

 

  오늘날 퇴계를 배우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우선 남긴 글을 읽고, 학문과 생애를 연구하여 글로 남기는 것 등이 있다. 이런 방법은 정신적으로만 배우는 방법이다. 퇴계가 다닌 길을 직접 몸으로 따라 걷는 방법이 퇴계를 배우는 좋은 방법이다. 그래서 도산서원 선비문화수련원 주최로 지난 2019년 양력 4월 퇴계 서거 450주년 되는 해에 퇴계 마지막 귀향길을 따라 걷는 행사를 진행하여 순조롭게 성공했다. 그러자 매년하자는 건의가 많아, 매년 하기로 결정했다. 2020년 4월에는 코로나로 준비만 하고 행사는 하지 못했다. 금년에도 코로나가 계속되고 있지만, 기다릴 수만은 없어 방역수칙을 지키면서, 4명으로 구성된 대원들이 15일 경복궁을 출발했다. 14일간 걸어 28일 도산서원에 도착한다.

 

  오늘날 퇴계의 모습을 다시 볼 수 없고, 목소리를 다시 들을 수 없다. 그러나 퇴계의 도덕을 흠모하는 마음이 날이 갈수록 더욱 독실해져 가는 사람들이 계속 늘어나고 있다.

 

* 慕 : 그리워할 모.

* 道 : 길 도, 도리·이치 도.

* 猶 : 오히려 유. * 篤 : 도타울 독.

 

동방한학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9 (859) 이지교법(以智矯法) - 꾀로써 법을 바꾸다 file 아우라 2021.02.02 62
168 (860) 항룡유회(亢龍有悔) - 너무 높이 올라간 용은 후회함이 있다 아우라 2021.02.02 37
167 (861) 기력여우(氣力如牛) - 기운과 힘이 소와 같다 아우라 2021.02.02 20
166 (862) 이신작칙(以身作則) - 자기 몸으로써 원칙을 삼는다 아우라 2021.02.02 41
165 (863) 여시구진(與時俱進) - 시대와 더불어 함께 나가다 아우라 2021.02.02 26
164 (864) 추태필로(醜態畢露) - 더러운 모습이 다 드러났다 아우라 2021.02.02 28
163 (865) 봉폐강화(奉幣講和) - 선물을 바쳐서 평화를 구하다 file 아우라 2021.02.02 33
162 (866) 과이불개(過而不改) - 잘못을 하고서 고치지 않는다 아우라 2021.02.11 42
161 (867) 한식세배(寒食歲拜) - 한식날 세배한다. 엉터리 지식으로 남을 가르친다 file 아우라 2021.02.24 22
160 (868) 살자헌수(殺子獻首) - 아들을 죽여 목을 바치다 file 아우라 2021.02.24 37
159 (869) 자초멸절(自招滅絶) - 스스로 멸망하여 없어지는 것을 초래한다 아우라 2021.03.15 20
158 (870) 유사롱단(有私壟斷) - 사사로이 농단함이 있다 아우라 2021.03.15 38
157 (871) 고희지년(古稀之年) - 옛날부터 드문 나이 1 아우라 2021.03.16 66
156 (872) 허부교식(虛浮矯飾) - 헛되고 과장되게 거짓으로 꾸민다 아우라 2021.03.23 35
155 (873) 학귀탐본(學貴探本) - 학문에 있어서 기본을 탐구하는 것을 귀하게 여긴다 아우라 2021.03.30 35
154 (874) 엽취명위(獵取名位) - 이름과 자리를 사냥하듯 차지한다 file 아우라 2021.04.06 33
153 (875) 타비아시(他非我是) - 다른 사람은 글렀고, 나는 옳다. 곧 내로남불 아우라 2021.04.13 61
152 (876) 지비불개(知非不改) - 잘못을 알고서도 고치지 않는다 아우라 2021.04.20 21
» (877) 모도유독(慕道猶篤) - 도를 그리워하는 마음이 오히려 독실하다 file 아우라 2021.04.27 23
150 (878) 조선산학(朝鮮算學) - 조선의 산학, 우리나라의 수학 file 아우라 2021.05.04 14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 9 Next
/ 9
후원참여
허권수의
한자로
보는 세상
후원참여
연학
후원회
자원봉사참여
회원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