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메뉴 건너뛰기

허권수의 한자로 보는 세상

실재서당

조회 수 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동방한학연구원장

        동방한학연구원장

 

강안양정(江岸兩亭) - 강가의 두 정자

 

  서울 한강에 놓인 다리 가운데 강남구 여의도동과 성동구 옥수동(玉水洞)을 연결하는 동호대교(東湖大橋)가 있다. 서울 시내 물을 다 모아 남쪽으로 흐르는 중랑천(中浪川)을 그 부근에서 한강이 흡수하여 수량이 불어나 강폭이 넓어져 호수처럼 보이므로 그 부분의 한강을 동호(東湖)라고 불렀던 것이다.

 

  이곳은 조선시대 산과 강이 어우러져 경치가 아주 좋았다. 관원들 가운데서 장래가 촉망되는 신하가 특별휴가를 받아 독서에 전념하던 독서당(讀書堂)이 거기 있었다. 독서당에서 공부한 관원들은 장래 큰 인재로 발탁될 명망을 지니게 되는데, 퇴계(退溪) 이황(李滉) 선생도 1541년 독서당에서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하게 되었다.

 

  독서당 옆에는 퇴계와 동시대 인물인 임당(林塘) 정유길(鄭惟吉) 소유의 몽뢰정(夢賚亭)이 있었다. 몽뢰정은 그 이후 서울에서 벼슬하다 고향 영남(嶺南)으로 내려가는 관원들의 전송 장소가 되어 더 유명해졌다.

 

  정유길이 어느 날 꿈속에서 경치 좋은 산속에 가서 마음에 드는 정자를 만났다. 나중에 동호가에서 꿈에서 본 정자와 꼭 같은 정자를 발견하고 자기 소유로 삼았다. 꿈에 하느님이 내려준 정자라는 뜻으로 몽뢰정(夢賚亭)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몽뢰(夢賚)란 말은, 서경(書經) ‘열명편(說命篇)’에 나오는 말에서 따왔다. 은(殷)나라 고종(高宗)이 꿈을 꾸었는데, 훌륭한 정승감을 내려주었다. 꿈속에서 본 모양을 그림으로 그려 천하를 다니며 두루 찾았는데, 바로 유명한 부열(傅說)이란 정승이다.

 

  정유길은 착하게 관대하게 살았는데, 나중에 자신도 좌의정에 이르고, 그 후손 가운데 정승이 14명이나 배출되어 조선 최고의 명문이 되었다.

 

  강 남쪽은 압구정동(狎鷗亭洞)인데, 압구정이라는 정자가 있었기 때문이다. 수양대군(首陽大君)을 도와 단종(端宗)을 죽이고 세조(世祖)가 되게 한 한명회(韓明澮)가 지은 정자다. 한명회는 사륙신 등 많은 사람을 죽여 공신이 되었고, 최고 관직인 영의정(領議政)을 세 번이나 지냈고, 두 딸을 왕비로 만들었다. 그러나 죽은 뒤 연산군(燕山君) 갑자사화에 부관참시(剖棺斬屍)를 당하고 삭탈관작(削奪官爵)되었다. 그 자손들은 우리 조상이라고 밝히지도 못 하며 숨어 지낸다.

 

  강을 사이에 둔 두 정자의 주인과 그 후손들의 삶은 크게 두 갈래로 갈라진다. 착하게 산 사람은 후손들이 번창하나, 간악하게 산 사람은 오늘날까지도 후손들이 낯을 들고 살 수가 없다.

 

  1569년 음력 3월 4일 경복궁에서 선조(宣祖) 임금으로부터 고향으로 돌아가도록 허락받은 퇴계선생은, 그 길로 몽뢰정에 도착하여 하룻밤을 묶었다. 그때 고봉(高峯) 기대승(奇大升), 사암(思庵) 박순(朴淳) 등 많은 학자 관료들이 선생을 전송하기 위해서 한강가로 따라 나와 몽뢰정에서 모시고, 학문과 사상 등에 대한 담론을 나누고 시를 주고받았다.

 

  몽뢰정은 이때뿐만 아니라 대대로 학자 문인 예술가들의 회합 장소로 잘 활용되었다.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도 만년에 그 부근에서 살며 예술활동을 했다.

 

* 江 : 강 강. * 岸 : 물가 언덕 안.

* 兩 : 두 량. * 亭 : 정자 정.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9 (1027) 애양기본(愛養基本) - 바탕을 기르기를 좋아한다 file 아우라 2024.04.30 2
168 (1026) 예현호사(禮賢好士) - 어진 사람에게 예의를 표하고 선비를 좋아한다 아우라 2024.04.23 6
» (1025) 강안양정(江岸兩亭) - 강가의 두 정자 아우라 2024.04.16 6
166 (1024) 사당수정(士當守正) - 선비는 마땅히 바른 도리를 지켜야 한다 아우라 2024.04.09 3
165 (1023) 교사다단(狡詐多端) - 교묘하게 속이는 방법이 여러 가지다 아우라 2024.04.02 8
164 (1022) 전형중임(銓衡重任) - 저울에 달듯이 사람을 골라 쓰는 중요한 임무 아우라 2024.03.26 5
163 (1021) 생소기중(生消其中) - 그 가운데서 생산되어 그 가운데서 사라진다 file 아우라 2024.03.19 4
162 (1020) 공근겸화(恭謹謙和) - 공손하고 삼가고 겸허하고 온화하다 file 아우라 2024.03.12 4
161 (1019) 가여공사(可與共事) - 더불어 일을 함께 할 만하다 file 아우라 2024.03.05 7
160 (1018) 명세수도(命世守道) - 하늘의 명으로 세상에 태어나 도를 지키다 아우라 2024.02.27 8
159 (1017) 용유구자(龍有九子) - 용에게는 아홉 명의 아들이 있다 아우라 2024.02.20 10
158 (1016) 형제난득(兄弟難得) - 형과 아우는 얻기 어렵다 file 아우라 2024.02.13 5
157 (1015) 모합심리(貌合心離) - 겉모습은 하나가 되어도 마음은 흩어져 있다 file 아우라 2024.02.06 8
156 (1014) 퇴계일기(退溪日記) - 퇴계 선생의 일기 file 아우라 2024.01.31 14
155 (1013) 백락일고(伯樂一顧) - 백락(伯樂)이 한 번 돌아본다. 사람을 잘 알아보는 사람이 알아보고 발탁하다 아우라 2024.01.23 6
154 (1012) 계구신독(戒懼愼獨) - 경계하고 두려워하여 혼자 있을 때도 삼가라 file 아우라 2024.01.16 9
153 (1011) 우정수학(尤精數學) - 수학에 더욱 정통하다 아우라 2024.01.09 14
152 (1010) 하신지사(賀新之詞) - 새해를 축하하는 말 아우라 2024.01.02 14
151 (1009) 출륜준재(出倫俊才) - 보통 사람들보다 뛰어난 재주 있는 사람 file 아우라 2023.12.26 24
150 (1008) 선공후사(先公後私) - 공적인 일을 우선하고 사적인 일은 나중으로 돌린다 file 아우라 2023.12.19 1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 9 Next
/ 9
후원참여
허권수의
한자로
보는 세상
후원참여
연학
후원회
자원봉사참여
회원마당